중요 개념

전송 및 저장: OTT 및 RTC의 스트리밍 프로토콜 심층 분석

10 분 읽기
Feb 18, 2025

빠르게 진화하는 OTT(Over-the-Top) 및 RTC(Real-Time Communication) 기술의 환경에서 포장된 미디어 파일의 전송 및 저장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종합 블로그 게시물에서는 오디오-비주얼 콘텐츠를 전송하고 저장하는 데 사용되는 다양한 스트리밍 프로토콜, 그 응용, 특성 및 프로젝트에 적합한 프로토콜을 선택할 때 고려해야 할 요소들을 탐구합니다.

스트리밍 프로토콜의 필요성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가 인코딩되고 패키징된 후, 이는 최종 사용자에게 전송되거나 나중에 접근하기 위해 저장될 필요가 있습니다. 이때 스트리밍 프로토콜이 등장합니다. 이러한 프로토콜은 스트리밍 미디어 기술의 필수적인 부분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미디어 파일의 효율적인 전송을 촉진하여 콘텐츠가 적시에 정리된 방식으로 시청자에게 도달하도록 보장합니다.

스트리밍 프로토콜은 콘텐츠 소스와 시청자 사이의 다리 역할을 하며, 디지털 미디어를 위한 운송 시스템과 유사합니다. 이들은 데이터 형식, 전송 및 수신 방법을 정의하여 서로 다른 시스템과 장치 간의 호환성을 보장합니다.

스트리밍 프로토콜의 범주

스트리밍 프로토콜은 기본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크게 분류될 수 있습니다:

라이브 스트리밍 프로토콜:

  • 예시: RTMP, HDL, HLS
  • 사용 사례: 이벤트의 실시간 방송, 라이브 TV, 스포츠

비디오 온 디맨드(VOD) 프로토콜:

  • 예시: HTTP, HLS
  • 사용 사례: 영화나 TV 프로그램 같은 사전 녹화된 콘텐츠 스트리밍

오디오-비디오 통화 프로토콜:

  • 예시: RTP/RTCP, UDP
  • 사용 사례: 화상 회의, VoIP 통화

비디오 감시 프로토콜:

  • 예시: RTP/RTCP, RTSP
  • 사용 사례: CCTV 시스템, 보안 카메라

또한 SIP(세션 시작 프로토콜) 및 SDP(세션 설명 프로토콜)와 같은 신호 프로토콜은 스트리밍 프로세스의 다양한 측면을 제어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는 멀티미디어 세션을 시작하고 수정하며 종료하는 데 특히 중요합니다.

스트리밍 프로토콜의 역할과 중요성

스트리밍 프로토콜의 역할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우리는 교통 시스템과 비유할 수 있습니다:

스트리밍 프로토콜 = 차량: 서로 다른 차량이 서로 다른 유형의 화물 및 경로에 적합하듯, 서로 다른 스트리밍 프로토콜은 다양한 유형의 콘텐츠 및 네트워크 조건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오디오-비디오 데이터 = 화물: 미디어 콘텐츠는 출처에서 목적지로 운반되는 페이로드입니다.

네트워크 인프라 = 도로: 네트워크 인프라의 품질과 용량은 프로토콜이 얼마나 효율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지에 영향을 미치며, 이는 도로 조건이 차량 성능에 미치는 영향과 유사합니다.

차량이 각각 다른 용량, 속도 및 연료 효율성을 가지고 있듯, 스트리밍 프로토콜도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 형식 지원: 일부 프로토콜은 여러 인코딩 형식을 지원(예: RTMP), 반면 다른 프로토콜은 제한적입니다.
  • 지연 시간: RTMP와 같은 프로토콜은 HLS보다 낮은 지연 시간을 제공하여 실시간 상호작용에 더 적합합니다.
  • 적응성: HLS와 같은 프로토콜은 적응형 비트레이트 스트리밍을 통해 변화하는 네트워크 조건에 잘 적응합니다.
  • 호환성: 일부 프로토콜(예: HLS)은 더 넓은 장치 및 플레이어 지원을 제공하는 반면, 다른 프로토콜은 특정 소프트웨어나 플러그인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일반 스트리밍 프로토콜의 상세 비교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스트리밍 프로토콜에 대해 좀 더 깊이 알아보겠습니다:

특징RTMPHLSHDL독점 프로토콜
프로토콜TCP(긴 연결)HTTP(짧은 연결)HTTP(긴 연결)주로 UDP
원리데이터가 즉시 수신되고 전달됨데이터를 시간에 따라 집계하고 TS 세그먼트를 생성하며 m3u8 인덱스를 업데이트함RTMP와 유사하며 HTTP(포트 80)를 사용UDP 기반의 개인 캡슐화
지연 시간1-3초5-20초(세분화에 따라 다름)1-3초100ms 이하일 수 있음
H5 지원플러그인 필요H5 지원플러그인 필요구현에 따라 다름
장점

낮은 지연 시간

여러 인코딩 형식 지원

라이브 스트리밍에 적합

장치 전반에 걸쳐 널리 지원됨

적응형 비트레이트 스트리밍

CDN과 잘 작동

HLS보다 낮은 지연 시간

표준 HTTP 포트(80) 사용

방화벽 통과가 용이함

매우 낮은 지연 시간 달성 가능

특정 용도에 맞게 커스터마이즈 가능

단점

Flash 지원 필요(단종 예정)

방화벽에 의해 차단될 수 있음

높은 지연 시간

재생을 위해 여러 요청 필요

HLS 또는 RTMP보다 덜 널리 지원됨

비표준 프로토콜

제한된 호환성

특정 소프트웨어 지원 필요

최고 사용 사례낮은 지연 시간 요구 사항이 있는 라이브 스트리밍넓은 장치 호환성을 위한 적응형 비트레이트 스트리밍방화벽을 통한 낮은 지연 시간 스트리밍특정 요구 사항을 가진 초저지연 애플리케이션
확장성좋음탁월함좋음다양함
적응형 비트레이트제한적제한적구현에 따라 다름
보안암호화 가능암호화 지원암호화 가능구현에 따라 다름

스트리밍 프로토콜 선택 시 고려해야 할 요소

OTT 또는 RTC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스트리밍 프로토콜을 선택할 때 다음 요소를 고려하십시오:

지연 시간 요구 사항: 화상 통화나 라이브 게임 스트리밍과 같은 상호작용 애플리케이션에는 낮은 지연 시간이 필수적입니다.

확장성: 일부 프로토콜은 대규모 배포를 위한 콘텐츠 배달 네트워크(CDN)와 더 잘 작동합니다.

장치 호환성: 청중이 콘텐츠에 접근하는 데 사용할 장치 및 플랫폼을 고려하십시오.

적응형 비트레이트 지원: 이는 다양한 네트워크 조건에서 원활한 경험을 제공하는 데 중요합니다.

콘텐츠 유형: 라이브 스트리밍은 비디오 온 디맨드와 다른 요구 사항을 가집니다.

네트워크 조건: 일부 프로토콜은 어려운 네트워크 환경에서 더 잘 작동합니다.

보안 요구 사항: 민감한 콘텐츠를 다룰 경우 암호화를 지원하는 프로토콜을 고려하십시오.

스트리밍 프로토콜의 미래

기술이 계속 발전하면서 새로운 프로토콜이 등장하고 기존 프로토콜이 적응하고 있습니다:

  • WebRTC: 낮은 지연 시간의 브라우저 기반 통신 기능으로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 CMAF(공통 미디어 애플리케이션 형식): 보다 효율적인 전달을 위해 스트리밍 형식을 통합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 SRT(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전송): 예측할 수 없는 네트워크에서 낮은 지연 시간 스트리밍을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결론

서로 다른 스트리밍 프로토콜의 특성과 응용을 이해하는 것은 OTT 및 RTC 기술 분야에서 일하는 개발자 및 엔지니어에게 매우 중요합니다. 프로토콜의 선택은 스트리밍 솔루션의 성능, 지연 시간 및 호환성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RTMP는 낮은 지연 시간 스트리밍의 필수 요소였지만 Flash 의존성 때문에 업계는 대체 솔루션으로 이동하고 있습니다. HLS는 뛰어난 호환성과 적응형 비트레이트 스트리밍으로 여전히 인기가 있지만 높은 지연 시간 문제를 안고 있습니다. 새로운 프로토콜 및 독점 솔루션은 지연 시간과 품질 측면에서 가능한 한계를 확장하고 있습니다.

스트리밍 환경이 계속 진화함에 따라 이러한 발전에 대한 정보를 유지하는 것이 효과적인 스트리밍 솔루션을 설계하고 구현하는 데 핵심입니다. 이상적인 프로토콜 선택은 특정 사용 사례, 대상 청중 및 기술 요구 사항에 따라 달라질 것입니다. 이러한 요소를 신중하게 고려함으로써 OTT 또는 RTC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에게 최상의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보장할 수 있습니다.